티스토리 뷰

반응형

신안 염전 강제노동 의혹
신안 염전 강제노동 의혹

2025년 10월 21일, 전남 신안군의 한 염전에서 강제노동 의혹이 또다시 불거졌습니다.
이번 사건은 지난 2014년 ‘염전노예 사건’ 이후 10여 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, 여전히 노동인권 사각지대가 해소되지 않았음을 보여줍니다.

 

60대 피해자 A씨가 신안군 염전에서 일하며 제대로 된 임금을 받지 못하고 염전주가 통장을 직접 관리해온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
이는 명백한 임금체불 및 강제노동 의혹에 해당하며, 현재 경찰이 수사에 착수했습니다.

 

신안 염전 강제노동 의혹
신안 염전 강제노동 의혹

📌 사건 개요 및 경위

  • 발생 지역: 전라남도 신안군 모 염전
  • 피해자: 60대 남성 A씨
  • 가해 의혹자: 염전주 B씨 (현재 수사 의뢰됨)
  • 조사 기관: 고용노동부·경찰·신안군 합동조사팀

신안 염전 강제노동 의혹
신안 염전 강제노동 의혹

 

조사 결과에 따르면 피해자는 정기적인 급여를 받지 못했고, 염전주는 피해자의 통장과 주민등록증을 보관한 채 노동을 시킨 것으로 드러났습니다.

즉, 피해자가 자신의 소득과 통장에 접근할 수 없었던 상태였던 것입니다.

 

신안군은 “피해자와 염전주를 즉시 분리하지 않은 이유는 피해자가 거부 의사를 밝혔기 때문이며, 강제로 분리할 법적 근거가 없었다”고 해명했습니다.

하지만 인권단체들은 이 같은 대응이 오히려 피해자 보호 원칙에 반한다며 강하게 비판하고 있습니다.

 

⚖️ 반복되는 ‘염전 강제노동’의 구조적 문제

이번 사건은 단순한 개인의 범죄가 아니라, 섬 지역 노동구조의 고질적인 문제를 드러냅니다.
신안군의 염전은 대부분 가족 단위의 소규모 사업장이며, 공식적인 근로계약 없이 구두로 채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.

 

특히 외지인, 고령층, 경제적 취약계층이 고용되는 경우가 많아 임금체불이나 인권 침해가 발생해도 **문제를 제기하기 어렵습니다.** 교통이 불편하고 사회적 감시망이 약한 섬 지역 특성상, 이런 인권 사각지대는 여전히 개선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.

 

신안 염전 강제노동 의혹
신안 염전 강제노동 의혹

 

📍 염전 강제노동이 반복되는 이유 4가지

  • ① 폐쇄적인 지역 환경: 외부 감시가 어려워 내부 고발이 잘 이뤄지지 않음
  • ② 비공식 고용 구조: 근로계약서 미작성, 임금명세서 부재
  • ③ 행정기관의 사후관리 부재: 점검 후 재발 방지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반응형